우리는 케이팝 데몬헌터스(케데헌) 같은거 못만들어요? - 1부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칼럼

미디어[영화 드라마] 우리는 케이팝 데몬헌터스(케데헌) 같은거 못만들어요? - 1부

페이지 정보

본문

 

img.webp?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j0lLMlLJOq%2Bp859pxfpBv97ftho%3D

 

우리는 케이팝 데몬헌터스(케데헌) 같은거 못만들어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못만듭니다 (...) 

그런데 이 이야기는 뒤에 하기로 하고....(윙?)

 

국내외적으로 케이팝 데몬헌터스(이하 케데헌)가 대흥행중입니다.

넷플릭스에서 전세계 순위 1위, 영어권 1위, 주요국가 1위를 달성하였으며

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YEotb%2ByOxU6ItYR%2BUd%2FIH6Viu%2FU%3D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kbZYNU%2BLRlNYLLTgYmWWPvIJxOk%3D

 

OST는 빌보드 글로벌 차트 순위권을 넘어서,  Golden 은 메인차트인 핫100(!)에서도 2위까지 올라갔습니다 ㄷㄷㄷ

 

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AiGOJ%2FLAi%2FVPU7BM2mVhmx4U2m4%3D

 

오래전부터 한국애니메이션의 발전을 바래왔던 저였기에

케데헌의 흥행은 정말 놀라우면서도 뿌듯하며 자랑스러울 정도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R1VCtWppRLqVYpSdfJOyPTSogts%3D

 

 

과연 케데헌을 "한국 애니메이션"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Iz%2BTEPXjsXd2GVjbtA%2B%2BSL0MCLg%3D

 

감독, 각본, 제작, 제작사, 배급사 어디에도 한국기업, 한국인은 보이지 않습니다 (...)

물론 매기강 감독이 "한국계" 캐나다인 이긴하지만....

어디까지나 국적은 캐나다분입니다..

 

그럼 제목에 적은것처럼 왜 케데헌을 한국에서는 못만드는 걸까요?

 

1. 만들 수 있는 "감독"이 없습니다. (+환경)

 

영화제작에 참여하는 모든분들이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사람은 역시 "감독"입니다.

같은 주제의 시리즈물조차 감독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영화의 스타일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먼저 매기강 감독님의 커리어를 살펴보면....

 

캐나다 이민을 간후, 영화를 좋아하셨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단편영화를 쓰며 캐릭터 디자인이나 그림을 많이 그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부모님도 지원을 많이 해주셨다고 하네요..

 

여기까지는 한국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 입니다.

 

이후, 대학을 쉐리던 컬리지라는 유명한 애니메이션 학교에 입학하고,

대학3하견때 졸업작품을 만들어,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에 취업하게 됩니다.

(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은 그 유명한 스티븐 스필버그가 만든 애니메이션 제작사죠 ㄷㄷㄷ)

 

드림웍스(슈렉 제작사)에서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로 10년 정도 일을 했고, 

이후  블루스카이 (아이스 에이지 시리즈 제작사), 워너 애니메이션 (레고 무비시리즈 제작사) , 일루미네이션(슈퍼베드, 미니언즈 제작사) 에서도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워너에서 슈퍼바이저로 일을 하다가 스스로 감독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그때부터 오리지널 프로젝트를 구상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케데헌 같은 같은 작품을 만들 수 없는 첫번째 이유는

다양한 애니메이션 제작을 하며, 감독으로서의 경험과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제작사가 없습니다.

 

( 물론 우리나라가 아동용 애니메이션 제작 실력은 매우 뛰어나지만, 케데헌과는 장르가 다릅니다)

 

 

2. 대작 애니메이션에 투자해주는 "투자사"가 없습니다.

 

케데헌 제작비가 7,000만 달러 ( 약 1,000억원) 정도라고 합니다.

(출처: https://m.science.ytn.co.kr/program/view_today.php?s_mcd=0082&key=202507171602562491 )

 

그리고, 지금까지 역대 모든 한국영화 중 제작비 높은 순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vU%2FBtm85aqQpbfrcVn1DSE67ZAc%3D

 

이런 상황에서, 애니메이션에 역대 한국 영화 최고제작비의 2배 가까이를 투자할 회사는 찾기 어려울겁니다...

심지어 케데헌 제작비는 헐리우드 애니메이션 제작비에 비하면 많이 저렴한(?)편입니다.

 

디X니의 모X나2의 경우 1억5천만 달러로, 케데헌 제작비의 2배가 넘습니다.

(그외 최근 디x니 작품들도 1억2천만 달러에서 1억 7천만달러 사이이며

X니 창립 100주년 작품이었던 위X는 무려 제작비가 2억달러에 달했습니다 ㄷㄷ)

 

케데헌의 OST곡들의 퀄리티가 매우 뛰어난데... 

케데헌의 OST는 블랙핑크(!)를 만들어낸 테디, 그리고 그가 창립한 더 블랙레이블이 참여했으며 

최고 음악 프로듀서로는 위키드 실사영화에 참여했던 분이 담당하게 됩니다.

결국 우수한 OST제작도 충분한 돈이 기본이 되어줘야 합니다 (...)

 

그리고 최종결정은 결국 감독이 내리는것이기에, 결국 1번의  감독의 역량이 또 중요해지는 것입니다..

매기강 감독님이 인터뷰 내용중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 실제 성우 분들이 연기를 하는 것은 아니고,

사실 대부분의 경우 스토리보딩 때 제가 성우 연기를 했다.

음악을 얹어보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음악으로 엑소와 멜로망스의 음악을 넣어봤는데

너무나 완벽하게 맞아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 두 곡은 초기부터 정해져 있었고,

실제로 음악 라이센싱 과정과 새로운 스코어 작곡 과정을 거치면서

두 곡은 너무 완벽해 그대로 쓰면 좋겠다는 결정을 하게 됐다."

 

출처: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52249

 

이와 같은 이유로 "아직은" 한국에서 케데헌 같은 작품을 만들 수 없는것 같습니다....

 

결국 케데헌은

한국의 케이팝, 한국의 문화/배경등을 (매우 디테일하게 ) 소재로 잘 활용하고 

미국 자본을 투자 하여

일본(소니) , 미국(콜럼비아픽쳐스), 케나다(크리에이티브 BC필름) 제작사가 만들고

한국계 캐나다인 감독님이 만든

외국 영화인것입니다.....

 

(이는 OST도 마찬가지입니다.

작곡가 분들도 대부분 한국계 외국 국적이며

노래부른분들도 트와이스를 제외하면 모두 한국계 외국인 분들이죠...)

 

그렇다고 케데헌의 흥행이 한국에 도움이 안되는건 아닙니다.

영화와 음악의 영향력은 엄청나서

전세계적으로 한국의 이미지를 높여서, 결국 한국관광뿐만 아니라

한국 제품/서비스에 대한 이미지도 함께 높이기에

어마어마한 파급효과가 있습니다. :)

 

그럼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12세 이상 애니메이션은 시장이 부족해서 투자를 안하거나, 안(못)만드는걸까요??

 

그건 2부에 이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건 1 페이지

검색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Copyright © aaze.kr All rights reserved. Contactus: guest.aaze 앳 gmail.com